부산 해운대 구 재난 대피소 현장 점검기 – 해수욕장 인근 대피 가능할까?
관광지 속 안전 사각지대를 점검하다, 재난 대피소 현장 점검기
부산 해운대구는 국내에서 가장 많은 관광객이 몰리는 지역 중 하나다. 특히 여름철이면 해운대 해수욕장을 중심으로 수십만 명이 하루에도 다녀가며, 거리마다 사람과 차량이 붐빈다. 그런데 만약 이 지역에 대규모 재난이 발생한다면, 예를 들어 해일이나 화재, 지진이 일어난다면 우리는 어디로 피해야 할까? 단순히 '해운대는 관광지니까 안전하겠지'라는 생각은 착각일 수 있다.
재난대피소는 분명히 등록되어 있지만, 그 위치를 아는 사람은 드물고, 실제로 그 공간이 재난 시 대피처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을지는 확인된 바 없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해운대 해수욕장 반경 약 1km 내에 위치한 재난대피소 중 5곳을 직접 탐방하며, 위치, 접근성, 실질적 수용 능력, 현장 안내 및 시민 인식 등을 종합적으로 점검했다. 종이 위에만 존재하는 '이론적 대피소'가 아닌, '현실 속 대피 가능 여부'를 검증하는 것이 이번 탐방의 핵심이다.
재난 대피소 5곳 실제 방문기: 위치와 접근성은 글쎄?
첫 번째로 방문한 곳은 우동 주민센터 앞 공원이다. 포털 지도상에는 대피소로 표시되어 있었지만, 실제 현장에는 이를 안내하는 표지판이 전혀 없었다. 공원 자체는 개방되어 있었지만 그늘이 부족하고, 긴급 상황 시 차량 접근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두 번째 대피소는 해운대초등학교 운동장이었다. 위치는 해수욕장과 가까워 보였지만, 학교 특성상 평일이나 야간에는 외부인의 진입이 제한적이다. 교문은 닫혀 있었고, 아무런 안내 문구도 없어 ‘재난 발생 시에는 어떻게 출입이 가능한지’ 알기 어려웠다.
세 번째는 해운대구청 옥상 대피소다. 고지대에 위치해 있어 해일 발생 시 비교적 안전한 위치로 보였고, 건물 구조도 견고했다. 하지만 옥상 출입은 평소에는 폐쇄되어 있었으며, 비상시 개방 여부나 개방 주체(예: 담당 부서)에 대한 정보는 현장 어디에서도 확인할 수 없었다.
네 번째는 송림공원이었다. 도심 안쪽에 위치하고 있어 접근성이 좋은 편이었으나, 지형이 경사진 형태여서 노약자나 장애인, 어린이의 이동에는 불편함이 예상됐다. 또한 공원 내 화장실 위치나 야간 조명 상태가 미비해 실질적인 피난처로서는 다소 불안감이 있었다.
다섯 번째로 찾은 곳은 동백섬 입구 광장이었다. 해수욕장과 가장 가까운 위치이지만, 평상시 관광객들로 붐비는 공간이며, 해일이나 군중 혼잡 상황에서 대피소 역할을 할 수 있을지는 매우 의문스러웠다. 주변에는 안내 요원은 물론이고, 어떤 재난 대응 안내문도 없었다.
실제 대피 상황을 가정해보니, 재난 대피소 준비가 너무 부족했다
직접 발로 뛰며 대피소들을 확인한 결과, 가장 큰 문제는 실제 재난 상황에서 대피가 가능한가? 하는 점이었다. 대피소라는 이름은 붙어 있었지만, 실제로 긴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시스템이 부족했다. 예를 들어 해운대 해수욕장 인근에는 여름철 하루 수십만 명이 모인다. 이 많은 인파가 동시에 한두 곳의 대피소로 몰릴 경우, 그 공간이 과연 사람들을 수용할 수 있을까?
실제로는 수용 불가다. 운동장 하나, 공원 하나로는 한정된 수의 사람만 수용이 가능하고, 그나마도 그늘막이나 천막 같은 기본 보호 설비조차 보이지 않았다.
두 번째로 심각했던 문제는 접근성이다. 대부분의 대피소는 평상시 일반인 출입이 어렵거나, 차량 진입이 불가능한 구조였다. 특히 도심 중심에서 골목길을 따라 들어가야 하는 대피소들은, 대규모 인원이 몰릴 경우 병목 현상으로 제 기능을 상실할 수 있다.
세 번째는 대피소 내부 설비 부족이다. 비상식량, 생수, 응급처치 키트 등은 어디에도 보이지 않았다. 대피소 대부분은 ‘재난 발생 시 물자 지원 예정’이라는 원론적인 원칙만 있을 뿐, 실제 상비 물자 보관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
넷째, 대피소 위치에 대한 시민 인식 부족도 심각했다. 현장 근처에서 만난 시민 10명 중 8명은 “이곳이 대피소인지 몰랐다”고 답했다. 관광객 중에는 “재난 시 어디로 가야 하느냐”는 질문에 답하지 못하는 이들이 대부분이었다.
결국, 표면적으로는 지정되어 있지만, 현실 속에서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대피소 시스템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밖에 없었다.
재난 대피소 개선이 시급하다: 물리적 공간보다 운영 시스템이 핵심
재난대피소는 단지 공간만 확보했다고 해서 기능을 발휘하는 게 아니다. 특히 해운대처럼 관광객이 밀집하고 교통 혼잡이 심한 지역일수록 ‘물리적 장소’보다 ‘운영 매뉴얼’과 ‘정보 전달 체계’가 더 중요하다.
우선 첫 번째로는 명확한 대피소 표지판과 사인 설치가 시급하다. 현재 대피소 대부분은 표지판이 없거나 눈에 잘 띄지 않아, 긴급 상황에서 찾기 어렵다.
두 번째는 재난 발생 시 대피소 개방 기준과 담당자 지정이다. 예를 들어 “해운대구청 옥상은 구청 재난안전과에서 해일주의보 발령 시 자동 개방된다”와 같은 구체적인 운영 절차가 있어야 한다. 하지만 지금은 담당 주체조차 불분명하다.
세 번째는 시민 대상 대피소 위치 안내 교육과 캠페인 강화다. 특히 관광객 비율이 높은 지역인 만큼, 다국어 대피소 안내 지도, QR코드, AR 기반 대피소 안내 앱 등이 필요하다.
네 번째는 모의 훈련의 실질화다. 현재도 연 1~2회 재난 대피 훈련이 진행되지만, 대부분은 형식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다. 민방위 대상 교육이 아니라, 일반 시민과 관광객도 쉽게 참여할 수 있는 ‘생활형 훈련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온라인 기반 지도 외에도 오프라인 중심의 재난 대응 체계가 병행되어야 한다. 재난 발생 시 인터넷이 끊기거나 모바일이 먹통이 되는 상황도 충분히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물리적 대피소의 수를 늘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시민 누구나 쉽게 찾고, 접근하고, 머물 수 있는 체계적 관리 시스템을 갖추는 일이다.
해운대는 대한민국의 대표 관광지인 만큼, 안전 시스템에서도 ‘모범 사례’가 되어야 한다. 현실적으로 작동하는 재난대피소야말로 진정한 안전 도시의 조건이다.
해운대구의 재난 대피소, 지금 상태로는 개선이 절실하다.
다음 글에서는 인근 기장군 해안 지역 대피소 체계를 비교 분석해볼 예정이니,
관심 있는 독자라면 다음 글도 함께 참고해보길 바란다